2035년까지 세계 최초 미래소재 12종 확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전략기술 지원을 위한 미래소재 확보 전략”을 발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전략기술 분야 경쟁력 제고를 위한 중장기 전략으로 정부가 ‘미래 100대 소재’ 종합탐색에 나선다. 2035년까지 경쟁사보다 2년 이상 앞선 소재 12종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7월부터 우선순위로 선정된 소재 관련 연구에 자금을 즉시 투입한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과학기술자문회의를 열고 확보해야 할 국가전략기술 12개를 선정해 추진키로 했다. 국가 전략기술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미래 소재기술에 집중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2일 서울 코엑스 인터컨티넨탈에서 ‘국가전략기술 지원을 위한 미래소재 확보 전략’을 발표했다.


국가전략기술 초격차미래소재

구체적인 실천 방안으로 정부는 ‘미래물질 민관 자문단’을 구성하고 있다. 6월에는 2025년까지 미래소재를 연구하는 미래기술연구소 100개소를 소재분야별 신규 사업계획으로 지원한다. 7월에는 우선적으로 선정된 소재 연구 분야에 약 90억 원을 1차 투자한다.

산학연 전문가 총 350명이 국가전략기술 분야별 전문연구단을 구성해 미래 100대 소재 발굴 과정에 참여했다. 전략 기술 영역별 세계 최고 수준 목표와 초격차 소재 목표를 설정하고, 상향식(Bottom-up) 기술수요조사와 하향식(Top-down) 기술수요조사를 통해 기술과제 해결을 위한 미래소재 발굴 전략적 분석을 해결합니다.

또한 지난해 11월 30일에는 미래소재 100종 확보 전략 공청회가 열렸다. 또한 미래소재별로 상품성 및 기술력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발굴된 미래소재는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전략적으로 지원될 것입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미래소재의 성공적 확보 및 지원을 위한 미션 중심의 R&D 사업을 추진해 디지털 기반 소재 생태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대학과 정부출연연구기관, 기업이 상시 소통하며 연구개발을 동시에 추진하고, 소재기술의 난제를 발굴하며, 매년 기술 목표를 업데이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소재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와 국책연구간, 정부부처와 사업간 연계를 통해 미래소재 확보의 전주기를 지원하기 위해 민관이 함께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국가소재데이터스테이션(K-MDS)을 활성화하고 데이터와 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소재개발 가속화를 위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한편, 이날 산·학·연 연구자들이 참석한 발표회에서는 미래 소재에 대한 효과적인 R&D 지원 전략에 대해 논의했다.

행사 1부에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미래소재 확보 전략’을 발표하고 장관과 연구원의 ‘스마일톡톡’ 대담이 진행됐다. 2부에서는 기업인, 대학, 국책연구기관 연구원들이 미래소재 분야 R&D 현황과 지원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또한 행사에는 기업, 대학, 정부출연연구기관 등 다양한 자료의 연구자 200여 명이 참석하여 상호 교류하고 연구현황을 교환하며 대표성과를 전시 관람하였다. 연구자 간담회 및 토론에 참여한 연구자들은 이 분야에서 성공적인 소재 개발 경험을 공유했습니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주요국 간 기술 패권 경쟁에서 앞서 나가기 위해서는 기술을 구현하는 미래 소재 확보가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앞으로의 광고 소재 방향

원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