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최대 승자’ 외신 감탄…K방산의 점진적인 ‘주문 대박’

조기K방사능…수주잔고 100조원 돌파
K9·천궁 오더 잭팟 ‘빅4 실적’도 날아올랐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52兆, KAI 24兆, LIG ​​넥스원 12兆 등
5~6년 근무 이미 확보…무기 수요 증가, 올해 수출 역학

국내 주요 방산업체 5곳의 수주잔고가 10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K디펜스 제품의 고효율(가격 대비 성능)이 우크라이나 전쟁 과정에서 강조됐기 때문이다. 세계 각국이 국방비 증액 경쟁을 펼치고 있어 추가 수주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24일 주요 방산업체들이 제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항공우주산업(KAI), LIG넥스원, 대우조선해양, 현대로템 등 5개사의 방산수주잔액은 100조4834억원을 연체했다. 작년. 업체별로는 K9 자주포를 만드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52조6586억원으로 가장 큰 수주잔고를 기록했다. 이어 KAI(24조5961억원), LIG넥스원(12조2651억원), 대우조선해양(특수선사업부) 6조4213억원, 현대로템(4조5423억원) 순이었다. 최소 5~6년 근무가 보장된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이는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특히 유럽에서 급증한 무기 수요를 흡수한 결과다. 스웨덴 싱크탱크인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에 따르면 세계 무기 수출 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2018~2022년)은 2.4%로 지난 5년(1.3%)보다 두 배 가까이 늘었다. 그 결과 지난해 방위산업의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LIG넥스원이 사상 최대 흑자를 냈다.

세계 주요국들이 국방비를 늘리면서 올해는 지난해를 뛰어넘는 ‘계약 대박’이 터질 것으로 업계는 기대하고 있다. 미국(10%), 일본(26%), 인도(13%) 등 주요국 대부분이 국방비를 늘렸다. 이에 따라 정부도 올해 방산 수출 목표를 사상 최대인 170억 달러(약 22조원) 이상으로 상향 조정했다. 최기일 상지대 군사학과 교수는 “K-디펜스의 경쟁력은 충분히 입증됐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전 국방비 증액…”가성비 좋고 납기 지연 없어”
K9자주포, 천궁, FA-50전투기, 동유럽 국산 무기 러브콜 등

올해도 국내 방산업체들의 ‘수출 신화’가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다. 유럽뿐 아니라 미국 인도 동남아 등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국제 정세가 불안정해지면서 국방비 증액에 앞장서고 있기 때문이다. K방어업체들은 고품질 무기를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납품 지연 없이 납품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정부도 올해 수출 목표를 사상 최대인 170억 달러 이상으로 설정하고 수출 활성화를 위한 전방위적 지원에 나섰다.

K방산의 연속 ‘주문대박’


국내 주요 방산업체들은 지난 1년 연속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폴란드에 ​​K-9 자주포를 수출하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해 매출(연결기준) 6조5396억원, 영업이익 3753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각각 18%, 36% 증가했다. LIG넥스원도 역대 최대인 천궁II 판매호조에 힘입어 1791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이는 전년 대비 84.3% 증가한 수치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종전 기록 경신에는 실패했지만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43% 증가한 1416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매출 목표는 지난해(2조5623억원)보다 37.3% 늘어난 3조8253억원이다.

방위산업의 실적이 급증한 것은 수출 호조에 따른 것이다. 산업자원부와 방위사업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방위산업 수출액은 170억 달러(약 22조 달러)로 2021년(70억 달러)을 넘어선 종전 기록을 경신했다. 두 배. 정부는 올해도 수출이 지속적으로 성장해 지난해를 상회할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로 지난 2월 KAI는 말레이시아 국방부와 FA-50 18대 수출계약을 체결했다. 지난해 11월 폴란드에서 124억 달러(약 12조 원) 규모의 초대형 거래를 따낸 지 5개월 만이다.

강점은 가성비, 고품질, 시간 엄수

홈디펜스 기업은 세계 시장에서 가격, 품질, 납기 등 다양한 측면에서 강자로 꼽힌다. 현대로템은 최근 예정보다 3개월 앞당겨 폴란드에 K2 전차 5대를 납품했다.

폴란드 외에 헝가리, 불가리아 등 동유럽에서도 국방비 증액과 무기체계 현대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어 국내 방산업체들의 수출 지역이 확대되고 있다. 동남아시아에서 역사적으로 최대 무기 공급원이었던 러시아 무기가 급속히 쇠퇴하면서 한국 기업들이 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영국 이코노미스트는 23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전쟁을 기점으로 러시아 무기의 부진한 성능이 입증됐고 한국이 최대 승자가 됐다”고 평가했다. 아시아는 5년 전에 비해 40%(2021년 기준) 감소했습니다.

방산 수요가 많은 유럽과 중동으로의 직진 진출도 늘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올 상반기 폴란드 바르샤바에 사무소를 열 계획이다. 한국무역협회도 내년에 바르샤바에 지점을 하나 더 열어 지역 기업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한화시스템은 지난 1월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에 해외사무소를 열었다.

K-방산 산업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전통적 군사력 중심지인 독일과의 직접 대결이 형성되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호주 육군의 레드백 보병전투차(IFV) 수주를 놓고 독일 기업과 경쟁하고 있다. 방산 관계자는 “수출 계약은 변수가 너무 많아 확정되기 전까지 살얼음판이라고 할 수 있다”며 “추가 수주를 위해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https://naver.me/Gt9gOFSg

‘한국 최대 승자’ 외신 감탄…K방산의 점진적인 ‘주문 대박’

국내 주요 방산업체 5곳의 수주잔고가 10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K디펜스 제품의 고효율(가격 대비 성능)이 우크라이나 전쟁 과정에서 강조됐기 때문이다. 전 세계 국가들이 국방비를 놓고 경쟁합니다.

n.new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