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코로나19와 경기 악화로 지속적인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을 위한 특별지원금이 3차 신청을 시작하려고 합니다. 1차와 2차에도 불만이 꽤 많았습니다. 연간 매출 기준이 3천만 원이었지만, 6천만 원으로 대폭 확대되어 매출 상황이 애매했던 소상공인분들은 더 많은 지원을 받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럼, 소상공인 전기세 특별지원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장 큰 변화는 연간 매출 기준이라는 것입니다. 3차는 7월 8일부터 신청 접수가 가능합니다. 그러니까 다음 주 월요일부터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소상공인 전기세 특별지원금 신청 안내 ▼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 신청하기.kr – 소상공인들을 돕고 있는 밀크포스트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을 받으면 최대 20만원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m.site.naver.com
1. 3차 감축 목표
기존 대상의 경우 2022~2023년 매출이 3천만 원 이하인 사업체만 지원 대상이었습니다. 이번 3차 지원 대상은 변경되어 2022년 또는 2023년 연매출이 6천만 원 이하인 사업체로 확대되었기 때문에 매출이 모호한 사업체도 이제는 감면 대상으로 지원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번에는 폐업하지 않아야 합니다. 중소기업 전기요금 특별지원 대상의 경우 2023년 12월 31일 이전에 개업하였으나 1차 고시가 발표된 2024년 2월 15일 기준으로 폐업하지 않은 개인 또는 법인 사업주만 지원 대상입니다. 매출이 3천만 원을 넘어 1차 또는 2차에서 받지 못했던 중소기업 사업주는 이번 3차 신청을 통해 2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2. 연간 매출 연간 매출의 경우 1월부터 12월까지 신고한 부가가치세 합계를 고려합니다. 개점한 달부터 계산하고, 매출을 운영 개월 수로 나누어 12개월로 계산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2023년 10월 1일에 개점했고 매출이 500만원이라면 (500만원을 3개월로 나눈 값) X 12개월로 계산하여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매출을 계산할 때 1개월 미만은 1개월로 단순 통합합니다. 또한 휴업을 했더라도 영업일로 간주합니다. 3. 신청 방법 신청 방법은 기존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중소기업 전기요금 감면 신청은 한국전력과 직접 계약을 맺은 직접사업자와 계약이 없는 비사업자로 나뉩니다. 직접사업자는 전기요금에서 자동으로 공제되고, 비사업자는 일부 현금을 환불하여 사업자 계좌에 입금합니다. 절차도 간소화되고 편리해졌습니다. 1. 중소기업 전기요금 특별지원 kr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온라인 신청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2. 좌측에는 직접계약자와 비계약자 신청이 있습니다. 여기서 자격 여부를 확인하고 자가진단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3. 사업자등록번호, 한전고객번호, 휴대전화번호를 입력하여 본인확인을 하거나 공동명의로 본인확인을 합니다. 4. 사업자명과 사업자주소를 입력하고 확인합니다. 5. 신청을 완료하면 결과가 문자로 전송됩니다. 중소기업 전기요금 특별지원을 온라인으로 신청하기 어려운 경우, 전국에 있는 오프라인 중소기업시장진흥원을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4. 필요서류 직접계약자와 계약자는 제출서류가 다릅니다. 직접계약자는 한전에서 중소기업과 사업자 정보를 알고 있으므로 직접 문의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제출서류를 준비할 필요가 없습니다. 해당자는 특별한 조치 없이 전기요금 2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비계약 이용자 한전과 계약하지 않은 소규모 사업주는 직접 서류를 준비해야 합니다. 원래는 매달 납부영수증을 제출해야 했지만 간소화되었습니다. 한국전력공사 요금관리비 청구서 전기요금 납부확인서 한전과 직접 계약하지 않아 전기요금 확인이 어려우므로 이를 제출하여 소규모 사업주 전기요금 특별지원금 수혜자로 확인을 받고 전기요금을 수령해야 합니다. 5. 요약 지금까지 소규모 사업주 전기요금 특별지원금 신청방법과 수혜대상을 살펴보았습니다. 신청방법이 간소화되고 확대된 것은 좋은 일입니다. 3차의 경우 연간 매출목표가 3천만원에서 6천만원으로 확대되어 전기요금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늘어날 것 같고 공평하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